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22

[Cent] APM설정 웹 서버를 사용해야 해서 cent로 사용 중인 노트북에 웹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기 시작했다. yum 명령어를 이용해서 설치한다. (yum install httpd mysql mysql-server php php-mysql) 그냥 httpd, mysql과 php만 조금 이용하기 때문에 별다른 설정없이 httpd를 실행시켜준다 mysql을 실행하려고 했는데 오류가 난다. 그래서 오류를 찾았는데 mariadb가 제 위치에 없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나왔다. 그래서 /usr/lib/systemd/system/의 위치에 mariadb.service 파일을 생성해준다. 그 후에 mysql을 사용하지 않고 mariadb를 사용한다고 한다.(솔직히 이해 안 감) 그리고 안됐다 그래서 그냥 mariadb를 설치.. 2019. 4. 3.
[Cent] 06. vsftp 설치 Samba를 이용하면서 외부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힘들어서 그냥 ftp를 사용하기로 했다.내가 알고있는 Cent에서 사용하는 ftp의 종류는 vsftp, proftp가 있다.나는 vsftp이용할 생각이다. 첫째로 vsftpd를 설치한다. yum install로 설치하면 된다.(-y 옵션은 설치할때나오는 모든 것에 yes한다는 뜻이다.) 그 후에 vsftpd의 환경설정을 확인한다. /etc/vsftpd/vsftpd.conf에서 익명사용자, 파일 생성시에 파일권한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상태, 시작, 중지, 재시작을 할수있다. 그 후에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확인하기 위해서 ftp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간단하게 yum install로 설치한다 vs.. 2019. 2. 20.
[Cent] 05. Samba 설치 및 설정 리눅스에서 윈도우로 파일을 옮기거나 반대로 윈도우의 파일을 리눅스로 옮길 때 상당히 불편하다.그래서 파일공유시스템을 만드려고 한다.파일공유시스템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 FTP와 Samba를 많이 이용한다.오늘은 Samba를 설치하고 설정하도록 해야겠다 01. Samba 설치 (그냥 yum install로 설치하면 된다) 02. 사용자 등록 사용자를 따로 등록한다면 계정을 생성한 후에 등록하면된다. 나는 그냥 root 쓸란다. 03. /etc/samba/smb.conf 에서 설정을 할수있다.sercurity를 개인이 사용하면 user 익명로그인이 가능하면 share로 설정한다. 03 03-1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내용을 추가해준다 04. 방화벽 등록이것저것 설치했는데 안될 때가 많다. 그래서 확인해보면.. 2019. 2. 11.
[Cent] 04. xrdp를 이용한 원격이용(원격데스크톱) 리눅스를 이용하면서 CLI로 이용하는 것도 좋지만 사실 GUI 환경이 작업하기 더 편하다.그래서 SSH이외의 xrdp를 이용하여 GUI원격을 이용할 계획이다.구글을 찾아보니 GUI원격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xrdp가 가장 쉽고 편하게 나와있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1. epel설치 epel이란 페도라에서 제공되는 저장소로서 다양한 패키지의 최신버전을 제공하는 저장소라고 나와있다 2. xrdp와 vnc설치 xrdp란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로서 다른 컴퓨터에 GUI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vnc는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이다.(검색하면 이렇게 나온다) 3. 이후에 방화벽에서 원격 포트인 3389를 추가 하고 재실행 시켜준다 이후에.. 2019.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