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ba를 이용하면서 외부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찾기 힘들어서 그냥 ftp를 사용하기로 했다.
내가 알고있는 Cent에서 사용하는 ftp의 종류는 vsftp, proftp가 있다.
나는 vsftp이용할 생각이다.
첫째로 vsftpd를 설치한다.
yum install로 설치하면 된다.(-y 옵션은 설치할때나오는 모든 것에 yes한다는 뜻이다.)
그 후에 vsftpd의 환경설정을 확인한다.
/etc/vsftpd/vsftpd.conf에서 익명사용자, 파일 생성시에 파일권한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에 system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상태, 시작, 중지, 재시작을 할수있다.
그 후에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확인하기 위해서 ftp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간단하게 yum install로 설치한다
vsftpd가 자동 실행될 수 있도록 systemctl을 이용해서 vsftpd를 추가해준다.
그리고 나는 root로 ftp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수정해줘야한다.
/etc/vsftpd/user_list와 /etc/vsftpd/ftpusers를 수정해준다.
이때 root를 주석처리해서 root접속을 허용해준다(왜그런진모르겠다. 그냥 root앞에 #하면 댐)
이후에 local에서 root로 ftp접속을 확인한다.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외부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해준다
(기타에서 포트포워딩 참조 : URL: https://dopal2.tistory.com/12)
이제 윈도우에서 접속해본다
안된다....................
이떄는 평균적으로 방화벽을 깜빡한거다
방화벽을 추가해준다.
이후에 다시 윈도우에서 접속한다.
접속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포트포워딩이 됬는 지 확인한다
성공했다.
진짜 방화벽 설정하는 것을 깜빡한 것 때문에 20분동안 얼탔다.
깜빡하지 말자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ali] 00. 라즈베리파이에 칼리리눅스 설치 (0) | 2020.11.10 |
|---|---|
| [Cent] APM설정 (0) | 2019.04.03 |
| [Cent] 05. Samba 설치 및 설정 (0) | 2019.02.11 |
| [Cent] 04. xrdp를 이용한 원격이용(원격데스크톱) (0) | 2019.02.11 |
| [Cent] 03. 노트북 덮개를 닫아도 사용가능하게 만들기 (1) | 2019.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