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QLD38 [#SQLD] 제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제 4절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1. 대량 데이터발생에 따른 테이블 분할 개요 : 대량의 데이터가 하나의 테이블에 집약되어 있고 하나의 하드웨어 공간에 저장되어 있으면 성능 저하 발생 => 트랜젝션 분산처리를 위해 데이터 단위에서 분할의 방법 적용 필요 - 대량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테이블에 많은 트랜잭션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테이블 구조에 대해 수평/수직 분할 설계를 통해 성능저하를 예방 - 수평분할 : 칼럼단위로 분할하여 I/O 경감 - 수직분할 : 로우단위로 분할하여 I/O 경감 - 로우 체이닝 : 로우길이가 너무 길어서 데이터 블록 하나에 저장되지 않고 두개 이상의 블록에 걸쳐 하나의 로우가 저장되어 있는 형태 - 로우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블록에서 수정이 발생하면 수정된 데이터를 해당 데이.. 2023. 2. 13. [#SQLD] 제 3절 반정규화의 성능 제 3절 반정규화의 성능 1. 반정규화를 통한 성능향상전략 가. 반정규화의 정의 : 정규화 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성능향상과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을 의미 데이터 조회 시 디스크I/O량이 많아서 성능이 저하 or 경로가 너무 멀어 조인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수행 데이터의 중복성을 증가시켜야만 데이터 조회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 반정규화를 통해 성능 향상 나. 반정규화의 적용방법 1) 반정규화 대상조사 - 범위처리 빈도수 조사 - 대량의 범위 처리 조사 - 통계성 프로세스 조사 - 테이블 조인 개수 2) 다른 방법유도 검토 - 뷰 테이블 - 클러스터링 적용 - 인덱스의 조정 - 응용 애플리케이션 3) 반정규화 적용 - 테.. 2023. 2. 9. [#SQLD] 제 2절 정규화와 성능 제 2절 정규화와 성능 1. 정규화를 통한 성능 향상 전략 : 일반적으로 정규화를 수행해야 데이터 처리 성능이 향상되며 데이터의 조회처리 트랜잭션시에 성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음. 2. 반정규화된 테이블의 성능저하 사례 (생략) 3. 함수적 종속성에 근거한 정규화 수행 필요 : 데이터들이 어떤 기준 값에 의해 종속되는 현상 * 정규화 : 중복/반복적인 데이터를 분리하고 각 데이터가 종속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것 * 반정규화 : 정규화된 엔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 성능향상과 개발/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하는 모델링 기법 2023. 2. 9. [#SQLD] 제 1절 성능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제 2장 데이터모델과 성능 제 1절 성능데이터 모델리의 개요 1.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 단게의 데이터 모델링때부터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 2. 성능 데이터 모델링 수행시점 : 성능을 분석/설계 단계에서부터 성능에 대한 데이터모델 설계를 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개선의 비용이 증가. 3. 성능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1) 데이터 모델링시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 2)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 3)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 유형 파악 4)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 5)이력모델의 조정, PK/FK조정, 슈퍼타입/서브타입 조정 등 수행 6) 성능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 2023. 2. 9.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