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QLD정리37

[#SQLD] 제 9절 조인(JOIN) 제 9절 조인(JOIN) 1. JOIN 개요 : 두개 이상의 테이블들을 연결 또는 결합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일반적인 경우 행들은 PK나 FK 값의 연관에 의해 JOIN이 성립,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런 PK, FK의 관계가 없어도 논리적인 값들의 연관만으로 JOIN이 성립 가능 2. EQUI JOIN : 두개의 테이블 간에 칼럼 값들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대부분 PKFK의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테이블.칼럼명”처럼 테이블명과 칼럼명이 같이 나타낸다. - SELECT 칼럼 FROM TB1, TB2 WHERE TB1.key = TB2.key - SELECT 칼럼 FROM TB1 INNER JOIN TB2 ON TB1.key = TB2.key (조건) 3. Non EQU.. 2023. 2. 27.
[#SQLD] 제 8절 ORDER BY 절 제 8절 ORDER BY 절 1. ORDER BY 정렬 : SQL문장으로 조화된 데이터들을 다양한 목적에 맞게 특정 칼럼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데 사용 칼럼 명 대신에 SELECT절에서 사용한 ALIAS 명이나 칼럼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도 사용가능 별도로 정렬방식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이 적용, SQL문장의 제일 마지막에 위치 2. SELECT 문장 실행순서 5. SELECT [ALIAS명] 1. FROM 테이블명 2. WHERE 조건식 3. GROUP BY 칼럼(Column)이나 표현식 4. HAVING 그룹조건식 6. ORDER BY 칼럼(Column)이나 표현식 1. 발췌 대상 테이블 참조(FROM) 2. 발췌 대상 데이터가 아닌 것 제거 (WHERE) 3. 행들을 소그룹화 (G.. 2023. 2. 27.
[#SQLD] 제 7절 GROUP BY, HAVING 절 제 7절 GROUP BY, HAVING 절 1. 집계함수 : 여러 행들의 그룹이 모여서 그룹당 단 하나의 결과를 돌려주는 함수 중 GROUP BY (행을 소그룹화), SELECT, HAVING, ORDER BY에서 사용 * 집계함수 종류 - COUNT (*) : NULL포함 행의 개수 출력 - COUNT (표현식) : NULL제외 행의 개수 출력 - SUM ([DISTINCT|ALL] 표현식) : NULL값 제외 합계 출력 - AVG ([DISTINCT|ALL] 표현식) : NULL값 제외 평균 출력 - MAX ([DISTINCT|ALL] 표현식) : 표현식 최대값 출력 (문자,날짜,데이터타입 사용가능) - MIN ([DISTINCT|ALL] 표현식) : 표현식 최소값 출력 (문자,날짜,데이터타입 사용가.. 2023. 2. 27.
[#SQLD] 제 6절 함수 제 6절 함수 1. 내장 함수 개요 : 각 벤더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설치 시 기본으로 제공되는 SQL내장함수 2. 문자형 함수 - LOWER (문자열) : 알파벳 문자를 소문자로 전환 - UPPER (문자열) : 알파벳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 - ASCII (문자) : 문자나 숫자를 ASCII코드로 변환 - CHR/CHAR (ASCII번호) : 코드번호를 문자나 숫자로 변환 - CONCAT (문자열1, 문자열2) : 문자열 1, 2를 연결 - SUBSTR/SUBSTRING (문자열, m[,n]) : 문자열 중 m위치부터 n위치까지 반환, n없을 시 끝까지 - LENGTH/LEG (문자열) : 문자열의 개수를 숫자 값으로 반환 - LTRIM (문자열 [,지정문자]) : 문자열의 첫 문자부터 확인해 지정.. 2023. 2. 27.
반응형